본문 바로가기
초급 학습자를 위한 팁

한국어능력시험(TOPIK) 영역별 문제 유형과 특징

by 해가 나듯 따스한/ Korean Teacher 2025. 7. 5.

 한국어능력시험(TOPIK)은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외국인과 재외동포를 대상으로, 한국어 사용 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시험입니다. TOPIK은 크게 TOPIK I(초급)과 TOPIK II(중·고급)로 나뉘며, 각 영역별로 문제 유형과 특징이 다르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한국어능력시험(TOPIK) 영역별 문제 유형과 특징

듣기(Listening) 영역

  • 문제 유형: 객관식 4지선다형
  • TOPIK I: 30문항(20~30분), 실생활 대화, 간단한 안내문, 짧은 지문 듣고 정답 고르기
  • TOPIK II: 50문항(약 60분), 뉴스, 강연, 인터뷰, 복합적 상황 대화 등 다양한 유형

특징

  • 실제 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상황을 반영한 대화문과 지문이 출제됩니다.
  • 초급은 간단한 정보 파악, 중·고급은 세부 내용, 화자의 의도, 추론 등 고차원적 이해를 묻는 문제가 많습니다.

읽기(Reading) 영역

  • 문제 유형: 객관식 4지선다형
  • TOPIK I: 40문항(40분), 간단한 안내문, 짧은 글, 표, 광고 등
  • TOPIK II: 50문항(70분), 신문 기사, 에세이, 설명문, 논설문 등 다양한 장르

특징

  • 어휘, 문법, 중심 내용, 세부 정보, 추론, 글의 목적 등 다양한 능력을 평가합니다.
  • 초급은 단어 의미, 그림 찾기, 문장 완성, 중심 소재 파악 등 실용적 이해 중심
  • 중·고급은 글의 구조, 주제문 찾기, 요약, 지시어 내용, 필자의 태도 파악, 단락 순서 맞추기 등 심화 문제 출제.

쓰기(Writing) 영역

  • 문제 유형: 서답형(단답형 및 작문형)
  • TOPIK I: 쓰기 영역 없음
  • TOPIK II: 4문항(50분), 문장 완성형(단답형) 2문항, 작문형 2문항(중급 설명문, 고급 논술문)

특징

  • 문장 완성형: 제시된 상황에 맞는 문장이나 단어를 작성
  • 작문형: 200~300자 설명문, 600~700자 논술문 등 실제 상황이나 주제에 대해 논리적으로 서술
  • 평가 기준: 내용 및 과제 수행, 글의 전개 구조, 언어 사용(어휘, 문법, 맞춤법), 사회언어학적 격식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평가.

어휘·문법(Vocabulary & Grammar) 영역

  • 문제 유형: 객관식 4지선다형(과거에는 별도 영역, 최근에는 읽기 영역에 통합)

특징

  • 어휘의 의미, 반의어·유의어, 문법적 적합성, 문장 완성 등 실용적 언어 지식 평가
  • 문장 내 틀린 부분 찾기, 적절한 어휘/문장 선택, 접속사 고르기 등 다양한 방식.

영역별 대표 문제 유형 요약

영역 주요 문제 유형 특징 및 평가 목표
듣기 대화문, 안내문, 뉴스, 강연, 인터뷰 등  실생활 상황 이해, 세부 정보 파악, 화자 의도 및 추론 능력
읽기 광고, 안내문, 기사, 에세이, 논설문, 표 등 어휘·문법, 중심 내용, 세부 내용, 추론, 글의 목적, 구조 이해
쓰기  문장 완성, 단답형, 설명문, 논술문 과제 수행력, 논리적 전개, 어휘·문법 정확성, 사회언어학적 격식 평가
어휘·문법  단어 의미, 문장 완성, 문법 오류 찾기, 접속사·지시어 등 실용적 언어 지식, 문장 구조와 의미 파악 능력 

한국어능력시험(TOPIK)은 듣기, 읽기, 쓰기(중·고급)의 영역별로 다양한 문제 유형과 평가 기준을 적용하여, 실질적인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을 종합적으로 측정합니다. 각 영역의 문제 유형과 특징을 정확히 이해하고 준비하는 것이 고득점의 핵심입니다. 파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