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급 학습자를 위한 팁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필수 한국어 문법 10개

by 해가 나듯 따스한/ Korean Teacher 2025. 5. 4.

한국어를 처음 배우는 학습자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일상생활에서 자주 쓰이는 핵심 문법을 정확하게 익히는 것입니다. 이 글에서는 초급 학습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10가지 필수 한국어문법의 의미, 사용법, 예문을 통해 쉽고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필수 한국어 문법 10개

자기소개와 기본 문장 구조

이에요/예요, 은/는, 이/가

  • 이에요/예요: 명사 뒤에 붙여 ‘~입니다’의 의미로 사용합니다. 받침이 있으면 ‘이에요’, 없으면 ‘예요’를 씁니다.

예: 저는 학생이에요. / 여기는 도서관이에요.

  • 은/는: 주제(Topic) 조사로, 문장에서 화제나 비교, 대조를 나타냅니다.

예: 저는 한국 사람이에요. / 이 책은 재미있어요.

  • 이/가: 주격 조사로, 주어를 나타내거나 새로 소개되는 정보를 강조할 때 사용합니다.

예: 친구가 왔어요. / 사과가 맛있어요.

이 세 가지 문법은 자기소개, 사물 소개, 기본 문장 만들기에 필수적입니다. 초급 단계에서 반복적으로 연습해야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존재와 위치 표현

에 있다/없다, 에 가다

  • 에 있다/없다: ‘~에 있다’는 존재, ‘~에 없다’는 부재를 나타냅니다.

예: 책상 위에 책이 있어요. / 가방 안에 연필이 없어요.

  • 에 가다: 장소에 가는 동작을 나타냅니다.

예: 학교에 가요. / 시장에 가요.

이 표현은 장소, 위치, 존재 여부를 묻고 답하는 데 꼭 필요합니다. 일상 대화에서 자주 등장합니다.

소유와 물건 설명

의, 이/그/저, 이거/그거/저거

  • 의: 소유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예: 제 친구, 엄마의 가방

  • 이/그/저: 가까운 것(이), 듣는 사람 가까운 것(그), 멀리 있는 것(저)을 구분합니다.

예: 이 사람, 그 집, 저 산

  • 이거/그거/저거: 사물을 가리킬 때 사용합니다.

예: 이거 뭐예요? / 저거 주세요.

이 문법들은 물건을 설명하거나 소유 관계를 표현할 때 반드시 필요합니다.

동작과 상태의 기본 활용

아요/어요, 을/를

  • 아요/어요: 동사와 형용사에 붙여 현재 시제, 정중한 종결 표현을 만듭니다. 받침, 모음에 따라 형태가 달라집니다.

예: 먹어요, 가요, 봐요

  • 을/를: 목적어를 나타내는 목적격 조사입니다.

예: 밥을 먹어요. / 영화를 봐요.

초급 학습자는 다양한 동사, 형용사에 ‘아요/어요’를 붙여 연습해야 자연스럽게 대화할 수 있습니다.

과거와 미래의 표현

았/었, (으)ㄹ 거예요

  • 았/었: 과거 시제를 나타냅니다. 동사/형용사의 어간에 받침과 모음에 따라 ‘았’, ‘었’, ‘였’을 붙입니다.

예: 먹었어요, 갔어요, 배웠어요

  • (으)ㄹ 거예요: 미래 시제, 계획, 추측을 나타냅니다.

예: 내일 갈 거예요. / 저녁을 먹을 거예요.

시간 표현과 함께 자주 쓰이며, 자신의 경험이나 계획을 말할 때 꼭 필요합니다.

부정 표현과 가능/불가능

안, 못, (으)ㄹ 수 있다/없다

  • 안: 동사/형용사 앞에 붙여 ‘~하지 않다’의 의미로 부정합니다.

예: 공부 안 해요. / 안 먹어요.

  • 못: 능력이나 상황의 한계로 인해 ‘~하지 못하다’를 나타냅니다.

예: 운전 못 해요. / 못 가요.

  • (으)ㄹ 수 있다/없다: 가능/불가능을 표현합니다.

예: 한국어를 할 수 있어요. / 수영을 할 수 없어요.

이 문법은 자신의 의지, 능력, 상황을 설명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이유와 결과, 연결 표현

아서/어서, 고, (으)니까

  • 아서/어서: 원인과 결과를 연결합니다.

예: 배가 아파서 병원에 갔어요.

  • 고: 동작이나 상태를 나열할 때 사용합니다.

예: 밥을 먹고 학교에 가요.

  • (으)니까: 이유를 강조할 때 사용합니다.

예: 비가 오니까 우산을 가져가세요.

복합 문장을 만들 때 반드시 필요한 연결 표현입니다.

제안, 권유, 희망 표현

(으)세요, (으)ㄹ까요?, 고 싶다

  • (으)세요: 상대방에게 정중하게 명령, 요청, 권유할 때 사용합니다.

예: 앉으세요. / 읽으세요.

  • (으)ㄹ까요?: 제안, 권유, 의문을 표현합니다.

예: 같이 갈까요? / 뭐 먹을까요?

  • 고 싶다: 희망이나 소망을 나타냅니다.

예: 한국에 가고 싶어요. / 친구를 만나고 싶어요.

상대방과의 상호작용에서 자주 사용되는 문법입니다.

비교, 한정, 추가 표현

도, 만, 보다

  • 도: ‘~도’는 ‘~도 역시’의 의미로 추가를 나타냅니다.

예: 저도 학생이에요. / 물도 주세요.

  • 만: ‘~만’은 한정을 나타냅니다.

예: 사과만 먹어요. / 오늘만 일해요.

  • 보다: 비교할 때 사용합니다.

예: 사과가 배보다 맛있어요.

비교, 추가, 한정은 대화에서 다양하게 활용됩니다.

시간, 순서, 빈도 표현

에, 부터/까지, 전에/후에, 마다

  • 에: 시간, 장소를 나타냅니다.

예: 3시에 만나요. / 집에 가요.

  • 부터/까지: 시작과 끝을 나타냅니다.

예: 아침부터 저녁까지 공부해요.

  • 전에/후에: 순서를 나타냅니다.

예: 먹기 전에 손을 씻어요. / 수업 후에 집에 가요.

  • 마다: 반복, 빈도를 나타냅니다.

예: 매일마다 운동해요. / 주말마다 영화를 봐요.

일상생활에서 시간, 순서, 빈도를 표현할 때 꼭 필요한 문법입니다.

초급 문법의 중요성과 활용 초급 한국어 문법 10가지는 일상 대화, 자기소개, 정보 전달, 감정 표현 등 다양한 상황에서 기본이 됩니다. 초급 학습자가 꼭 알아야 할 한국어 문법의 핵심을 체계적으로 익히고, 실제 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꾸준히 연습하면서 문법을 내 것으로 만들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