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급 학습자를 위한 팁

요약하기와 중심 내용 찾기로 읽기 후 활동하는 방법

by 해가 나듯 따스한/ Korean Teacher 2025. 9. 16.

한국어 교육에서 읽기 후 활동인 요약하기와 중심 내용 찾기 는 독해력과 사고력 향상에 매우 중요한 방법입니다. 

요약하기와 중심 내용 찾기로 읽기 후 활동하는 방법

요약하기란 무엇인가?

요약하기란 글의 중요한 생각이나 내용을 간략하고 정확하게 정리하는 활동입니다. 즉, 읽은 글을 통합적으로 압축하여 핵심 정보를 빠르게 파악하고 기억할 수 있게 합니다. 요약은 글의 길이나 주제에 관계없이 의미를 체계적으로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며, 독서 능력 향상은 물론 사고력을 키우는 데 효과적입니다. 학생들은 긴 글을 무작정 줄이려고 하지 말고 작은 단위부터 단계적으로 연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요약하기의 단계별 과정

첫째, 문장 요약 단계에서는 문장에서 핵심어를 찾아 중요하지 않은 단어를 생략하고 간결한 문장으로 다듬습니다. 예를 들어 “공동체 의식이란, 모든 사람이 서로 도우며 한 식구처럼 아끼고 서로를 사랑하는 마음을 말한다”는 문장에서 ‘공동체 의식’이 핵심어이며 반복되거나 부가적 설명은 삭제하여 “공동체 의식이란 모든 사람이 도우며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이다”로 요약합니다.

둘째, 문단 요약 단계에서는 문단이 말하는 중심 생각, 즉 ‘무엇에 대해 어떠하다’를 파악한 후 주제문장을 찾고 중요하지 않은 문장을 삭제해 문단을 재구성합니다.

셋째, 글 전체 요약에서는 문단별 요약을 기준으로 관련 내용을 묶어 글의 전체 핵심을 정리합니다. 이 과정은 단계별 점진적 확장 학습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중심 내용 찾기의 교육적 의의

중심 내용 찾기는 글의 중요한 정보를 골라내는 능력으로, 글의 흐름 파악과 비판적 사고력 배양에 필수적입니다. 학생들이 단순히 문단 나열로 인식하지 않게 하려면 교사가 사고 과정과 연결 지점을 명확히 지도해야 하며, 중심 내용이 글 전체를 대표한다는 개념을 확실히 해야 합니다. 효과적인 지도는 학생들이 글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자신의 언어로 재표현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요약하기 교육 사례 및 활동 방법

학교 현장에서는 학생들에게 핵심 낱말을 선택하게 하고, 이를 기반으로 핵심 문장과 소제목을 만들게 하는 활동이 효과적입니다. 또한 도식 조직자(개념도) 활용은 설명문에서 글의 논리적 구조를 시각적으로 파악하도록 도와 요약하기에 매우 적합합니다. 학생 간 의견 비교, 내용 누락 점검 및 불필요한 정보를 정리하는 토론형 활동도 요약 능력을 키우는데 매우 유익합니다.

요약하기와 중심 내용 찾기의 학습 효과

요약 활동은 글의 내용을 깊이 이해하게 함으로써 기억력과 표현력을 향상시키며, 중심 내용 찾기는 독자의 비판적 사고력과 정보 해석력을 키웁니다. 두 능력 모두 초등학생부터 성인 학습자까지 독해력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다양한 글 읽기와 과제 수행 능력 향상에 필수 요소입니다. 꾸준한 훈련으로 학생들은 읽기 자신감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교실 적용과 지도 시 유의점

교사는 요약과 중심 내용 찾기 지도를 할 때 학생 수준에 맞는 자료 선정과 단계적 지도를 해야 하며, 무작정 문장 축소만 목표로 삼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학생들이 중심 내용을 단순 나열이 아닌 맥락과 논리 속에서 연결 지어 이해하도록 돕고, 반복 훈련과 피드백을 통해 점진적 성장을 유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다양한 장르의 글로 연습을 늘려 추론과 비판적 사고력도 함께 신장시켜야 합니다.